
일제강점기에 건설을 시작하였으나 중단되었던 동해중부선은 이후에는 다른 노선에 밀려서 더 이상 진척이 없었다. 광복 후 69년이 지난 2014년에 착공에 들어갔으나 긴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바뀌어서 신선으로 만들어졌다. 2018년에 포항역에서 영덕역까지 연장되었고 드디어 2025년에 전구간이 개통하였다. 그 사이에 동해선으로 노선명이 바뀌었다. 연선은 우리나라에서도 인구가 적은 군 지역이고 구석구석 연결된 고속도로까지도 잘 되어 있지 않다. 다만 동해를 따라서 남북을 잇는 7번 국도는 고속화가 완료된 상태이다. 대량 수송이 목적인 철도가 운영하기에는 불리한 환경인 건 사실이니 공사는 느리게 진행되었고 중간에 전철화가 되는 걸로 바뀌어서 공사 시작 후 10년이 지나서야 영업 운전을 하게 되었다. ..

지난 번에는 경기도에 있는 서해선의 새로 개통될 역들(관련 글 보기)을 둘러보았는데 이번에는 충청남도에 있는 역들을 둘러보았다. 1. 인주역 아산시에 있는 인주역은 아산시내버스 620번, 621번, 622번이 운행한다. 3개의 노선을 합쳐서 1시간 정도의 배차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서해선이 개통되는 바뀌겠지만 해암3리 버스정류장에 내리면 바로 앞에 인주역이 있다. 인주역에서 선로와 승강장은 고가에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주역 입구와 주차장 그리고 버스정류장 공간은 건물 남쪽에 있다. 개통까지는 1주일 밖에 남지 않았지만 난간을 설치하는 마무리 공사를 하고 있었다. 출입구는 막혀 있고 1주일 후에 개통된다던지 열차시각표가 어떻다던지 하는 안내는 전혀 없었다. 인주역 근..

2024년 11월 2일에 서해선 연장 일부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다. 주말을 맞아서 경기도에 있는 서해선의 새로 개통할 역들을 운동 삼아서 둘러보았다. 운동이 들어가는 건 일부 역들은 아직 대중교통이 없어서 2km 넘게 걸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1. 서화성역 시화호 간척지로 개발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 내에 있어서 주변에 도로만 지나가고 아무 것도 없는 위치에 있다.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1.7km를 걸어가야 하지만 인도가 잘 되어 있어서 걷기에 좋다. 서해선과 신분당선 차량기지가 인근에 있어서 선로는 많으나 여객 수요는 많지 않을 걸로 예상하였는지 건물이 작다. 2. 화성시청역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 시내에 있고 인근에 아파트 단지가 있어서 연결하는 길이 이미 있다. 고가로 선로가 지나가고 승강장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레일
- 철도
- 북유럽
- 간이역
- 전라남도
- 무궁화호
- 폐역
- JR니시니혼
- 유럽
- 노르웨이
- 경상북도
- 동해남부선
- 일본
- 대만
- 영국
- 스웨덴
- KTX
- 부산
- 무인역
- 기차 여행
- 시외버스
- 경상남도
- 고속철도
- Sweden
- 철도공사
- 강원도
- 복선전철화
- 타이완
- 한국철도
- 경전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