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에 건설을 시작하였으나 중단되었던 동해중부선은 이후에는 다른 노선에 밀려서 더 이상 진척이 없었다. 광복 후 69년이 지난 2014년에 착공에 들어갔으나 긴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바뀌어서 신선으로 만들어졌다. 2018년에 포항역에서 영덕역까지 연장되었고 드디어 2025년에 전구간이 개통하였다. 그 사이에 동해선으로 노선명이 바뀌었다. 연선은 우리나라에서도 인구가 적은 군 지역이고 구석구석 연결된 고속도로까지도 잘 되어 있지 않다. 다만 동해를 따라서 남북을 잇는 7번 국도는 고속화가 완료된 상태이다. 대량 수송이 목적인 철도가 운영하기에는 불리한 환경인 건 사실이니 공사는 느리게 진행되었고 중간에 전철화가 되는 걸로 바뀌어서 공사 시작 후 10년이 지나서야 영업 운전을 하게 되었다. ..
어느덧 2013년이 끝나고 2014년이 되었다. 철도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그에 대한 결과가 계속하여 나타나고 있다. 복선전철화 공사를 한다고 하지만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던 동해남부선도 2013년 12월 2일에 해운대역에서 송정역에 이르는 해안 절벽을 따라서 이어지는 철길이 내륙으로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서 해운대역과 송정역의 위치가 바뀌게 되었다. 동해남부선에서는 1992년에 울산역(현재 태화강역)이 이설된 이후로 11년만에 선로가 이전되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3면이 바다라고 하지만 철길을 따라서 이어지는 구간은 많지 않다. 동해남부선의 해운대~송정 구간은 그 중의 하나로 부산의 복잡한 해안선을 볼 수 있음은 물론 광안대교(http://www.gwanganbridge.or.kr )도 볼 수 있..

신경주역(新慶州驛)은 야경도 멋지다. 산골짜기에 있어서 주변에는 신경주역 이외에는 빛을 강하게 내는 장소가 전혀 없기에 도로를 따라 들어올 때에도 밝은 빛으로 역이 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신경주역의 승강장에는 가운데에 높이 있는 철골 구조물에 조명이 들어가서 빛나는 관계로 비슷하게 생긴 천안아산역에 비하여 야경이 멋지다. 또한 벽에는 색깔이 바뀌는 LED 조명을 사용하였다. 요즈음에는 이런 야경을 보여주는 곳이 많다. 광안대교(http://www.gwanganbridge.or.kr )에서도 밤에는 이렇게 LED 조명을 이용하여 색깔이 바뀐다(관련 글 보기). 물론 신경주역의 주요 출입구가 있는 북쪽에만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사람들의 출입이 적은 남쪽에서 보면 조명이 없는지 켜지 않..
신경주역(新慶州驛)은 앞으로 동해남부선 이설에 대비하고 있어서 이번에 개통한 다른 역에 비해서는 대합실이 크다. 고가 아래에 있어서 자연 채광은 되지 않지만 천장은 다양한 문양이 들어간 장식이 있어서 부드러운 느낌이 든다. 북쪽으로 나가는 1번 출입구와 남쪽으로 나가는 2번 출입구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에는 문양이 있다. 양쪽으로 대합실이 있다. 양쪽으로 있는 기둥에는 12지신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동쪽 대합실 2번 출구 옆으로는 매표소와 신경주역 여행센터가 있기에 여기에는 기둥이 없어서 동쪽에는 4개의 기둥이 있고 서쪽에는 8개의 기둥이 있어서 12지신을 모두 부조로 만들었다. 서쪽 대합실에는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입구인 가운데는 비어 있고 양쪽으로 열차 출발 및 도착 안내를 하..
많은 사람들의 커다란 기대 속에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이 2010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 구간을 포함하여 고속철도역이 4개가 새로 생겼다. 이중에서 가장 사람들의 관심을 가지는 역은 신경주역(新慶州驛)이다. 경주는 인구가 많은 대도시는 아니지만 신라 천년의 수도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한 번 이상은 방문하는 관광지이기 때문이다. 개통 이전에는 교통이 불편하였지만 벌써 2번이나 신경주역을 답사하였다. 2009년 2월에 처음 갔고(관련 글 보기) 2번째는 올해 9월에 갔다(관련 글 보기). 2번째 방문을 하였을 때에는 역 광장은 이미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 있는 상태였다. 이제는 개통이 되어서 고속열차를 탈 수 있는 상황이기에 실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레일
- 경상남도
- 전라남도
- 복선전철화
- 폐역
- 노르웨이
- 일본
- Sweden
- 철도공사
- 고속철도
- 강원도
- 경전선
- 북유럽
- 간이역
- 시외버스
- 무인역
- 영국
- 동해남부선
- 한국철도
- KTX
- 철도
- 기차 여행
- 무궁화호
- 타이완
- 대만
- JR니시니혼
- 경상북도
- 유럽
- 스웨덴
- 부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