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에 건설을 시작하였으나 중단되었던 동해중부선은 이후에는 다른 노선에 밀려서 더 이상 진척이 없었다. 광복 후 69년이 지난 2014년에 착공에 들어갔으나 긴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바뀌어서 신선으로 만들어졌다. 2018년에 포항역에서 영덕역까지 연장되었고 드디어 2025년에 전구간이 개통하였다. 그 사이에 동해선으로 노선명이 바뀌었다. 연선은 우리나라에서도 인구가 적은 군 지역이고 구석구석 연결된 고속도로까지도 잘 되어 있지 않다. 다만 동해를 따라서 남북을 잇는 7번 국도는 고속화가 완료된 상태이다. 대량 수송이 목적인 철도가 운영하기에는 불리한 환경인 건 사실이니 공사는 느리게 진행되었고 중간에 전철화가 되는 걸로 바뀌어서 공사 시작 후 10년이 지나서야 영업 운전을 하게 되었다. ..
불암산영업소 버스정류장에서 내려서 별내신도시를 거쳐서 별내역(別內驛)에 오면 2013년 8월 8일에 문을 연 이마트 별내점이 있다. 현재는 별내역 주변에 있는 유일한 상업 시설이다. 길을 건너면 고가에 승강장이 있는 별내역이 있다. 한때에는 새로 짓는 역들은 벽을 모두 유리로 만드는 유리궁전이 유행하였지만 최근에는 유리궁전의 단점이 부각되면서 역마다 다른 디자인으로 지어지고 있다. 별내역의 경우에는 건물의 서쪽은 기울어진 사각형 모양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역명이 표시되어 있다. 수도권전철 경춘선의 노선 색상인 에메랄드색에 맞추어서 건물의 지붕과 구조물도 녹색 계통으로 통일하였다. 별내역은 별내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개통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서울도시철도 8호선이 연장되면 ..
옹천역을 둘러보고 무궁화호를 타고 남쪽으로 향하였다. 옹천역 마지막 모습을 보기 위하여 떠난 당일치기 여행이지만 옹천역 하나만 보기에는 하루가 아깝기에 중앙선 남부의 역들을 추가로 답사하였다. 탑리역(塔里驛)에서 내렸다. 하루에 한 번만 있는 서울에서 오는 무궁화호인지라 많은 승객들이 내렸다. 승강장은 포장이 되어 있지 않고 풀이 자랄 수 있는데 방문하였을 때가 3월이라서 아직 싹이 나지 않았다. 탑리역의 승강장은 1면 2선인데 방향 별로 열차가 들어오는 선로가 분리되어 있다. 화물 승강장이 있기는 하나 사용하지 않는지 텅 비어있다. 탑리역 이정표에는 의성역과 우보역이 나와 있다. 우보역은 현재 정차하는 열차가 없다. 또한 실제로는 탑리역과 의성역 사이에는 비봉역이 있지만 현재는 열차 교행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북유럽
- 한국철도
- 부산
- 유럽
- 스웨덴
- Sweden
- 동해남부선
- 무궁화호
- JR니시니혼
- 간이역
- 영국
- 노르웨이
- 경전선
- 대만
- 철도공사
- 강원도
- KTX
- 전라남도
- 철도
- 경상북도
- 복선전철화
- 코레일
- 일본
- 무인역
- 시외버스
- 고속철도
- 폐역
- 경상남도
- 타이완
- 기차 여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