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望祥海水浴場驛)은 과거 침목으로 승강장 턱을 만들어놓은 임시승강장이었다(관련 글 보기). 제대로 된 승강장을 설치하고 작지만 건물도 새로 만들었다. 여름 휴가 기간에 모든 열차가 임시 정차를 하여서 승하차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9년을 마지막으로 이후로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서 방치되어 있다. 인근 육교에서는 망상해수욕장역 승강장과 통과하는 열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선로가 직선으로 잘 뻗어있어서 그런대로 속도를 많이 내어서 통과한다. 다만 요즈음 선로처럼 고가가 아니라서 기차 안에서는 나무에 가려서 바다를 잘 보기 어렵다. 정동진역보다는 해수욕장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 망상해수욕장역은 겨우 200m만 걸어가면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여름이 아닌 겨울을 앞두고 있는..
부산에서 야간열차는 몇 번 타 보았지만 오랜만에 청량리역에서 야간열차를 탔다. 현재 서울에서 동해로 기차를 타고 간다면 제천과 태백을 거쳐서 돌아서 가게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덕분에 잠을 잘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며 가격도 심야우등에 비해서는 저렴하다. 그러나 중앙선 일부가 복선전철화가 되고 솔안터널 개통으로 인하여 소요시간이 5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더 자야하는 데 이럴 때에는 시간 단축이 원망스럽다. 그래도 부산에서 출발하여 강릉으로 가는 야간 무궁화호 1692열차에 비해서는 중간에 타고 내리는 승객이 적어서 훨씬 괜찮았다. 동해역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오전 4시여서 아직 해가 뜨지 않았고 어두웠다. 동해역 대합실이 매점은 문을 닫았고 일부 조명은 꺼 놓아서 어두웠다. ..
망상역에서 망상해수욕장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서 700m 정도 걸어가면 소나무 아래에 망상해수욕장역(望祥海水浴場驛) 이정표가 있는 걸 볼 수 있다. 망상해수욕장역은 2000년에 만들어져서 2007년까지 사용한 임시승장강이다. 사용을 하지 않은지 3년이 넘어서 주변에는 풀이 무성하게 자라서 망상해수욕장역 승강장으로 가는 길을 찾기가 쉽지 않다. 승강장은 포장이 되어 있지 않고 흙으로 되어 있고 승강장의 턱은 침목으로 사용되었던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제는 정차하는 열차가 없으므로 거리표를 아예 승강장 턱 옆에 꽂아놓았다. 망상해수욕장역 이정표에는 아예 임시승강장이라고 적어놓았다.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없는지 아예 위에 있던 한국철도 로고를 가려만 놓고 코레일 로고를 대신 붙이지 않았다...
연휴가 있으면 기차를 타고 멀리 떠나는데 수도권과 관련이 없는 유일한 야간열차인 무궁화호 1692호 열차를 타고 강원도로 향하는 경우가 많다. 2011년 광복절 연휴에도 이렇게 출발하였는데 정작 승차권을 늦게 구입하는 바람에 출입문에 가까운 좌석으로 배정되었다. 오전 3시가 넘어서 도착하는 영주까지 타는 승객이 있어서 사실 고난의 열차이지만 의외로 영주에서 옆 자리가 비어서 편하게 망상역(望祥驛)까지 왔다. 수도권에서 출발하는 열차와는 달리 남부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6호차가 가장 뒤에 연결되어 있다. 디젤기관차가 있는 가장 앞까지 이동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었다. 뒤를 보니 동해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를 위한 정차 표시와 철길 위로 건물이 하나 있다. 이곳은 국가철도공단(KR, http://..
동점역에서 나와서 계속하여 걸었다. 산과 산 사이로 도로와 철길 그리고 황지천이 이어진다. 도로와 황지천은 산 때문에 구불구불하지만 철길은 그렇게 갈 수 없으니 곳곳에 터널을 지나간다. 30분을 걸어서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도착하였다. 강원도로 온 것을 환영한다는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고 작은 휴게소가 있지만 경상북도 쪽에는 이정표 이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행정구역은 바뀌었지만 경치는 변함이 없다. 10분을 더 걸어가니 석포로 들어가는 길이 분기되는 육송정삼거리가 나왔다. 식당을 겸하는 매점이 하나 있지만 시외버스로 석포로 가는 경우에는 여기서 내리게 된다. 산 사이로 흐르는 넓어진 낙동강이 있어서 쉬어가는 사람들이 많다. 이곳에는 태백과 영주나 봉화를 연결하는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그런데 ..
- Total
- Today
- Yesterday
- 복선전철화
- 유럽
- 북유럽
- 경상남도
- 대만
- Sweden
- 동해남부선
- JR니시니혼
- 전라남도
- 노르웨이
- 일본
- 한국철도
- 무인역
- 폐역
- 무궁화호
- 철도공사
- 철도
- 스웨덴
- 기차 여행
- 강원도
- 시외버스
- 간이역
- 코레일
- 경상북도
- 타이완
- 영국
- KTX
- 경전선
- 고속철도
- 부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