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9JWWQ/btsK16ossde/v6w3ODSiAHbMJYBbefPox0/img.jpg)
내가 탈 열차에 대한 개찰이 시작되어서 파달라랑역(Stasiun Padalarang)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파달라랑역 고속선 승강장은 2면 2선이고 가운데에 통과 2선이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 고속철도는 노선이 짧아서 각역 정차 열차만 운행하고 있으므로 통과선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할림(Halim) 방면으로 가는 열차를 타기 위해서는 육교를 건너가야 한다. 직선으로 뻗어있는 고속철도 선로가 잘 보였다. 반둥(Bandung)은 해발 700m에 넘은 곳에 있는 도시이고 지금 고속철도로 갈아타는 파달라랑역은 해발 695m에 있다. 우리나라라면 평창군과 비슷한 높이여서 겨울에 추운 곳이 되지만 인도네시아 같은 적도 부근의 열대 지방에서는 날씨가 선선해서 살기 좋은 곳이다. 주변으로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08Dzd/btsK0MiFaXB/aR4OeqGYYKQ2CJj5tKAe70/img.jpg)
반둥(Bandung)에서 2박을 하고 다시 자카르타로 가기 위하여 반둥역(Stasiun Bandung)으로 향하였다. 반둥으로 올 때에는 고속철도를 탔으니 돌아갈 때에는 기존선을 타려고 하였다. 기존선은 열차 운행 회수가 적고 토요일이라서 만석이었다. 기존선을 운영하는 커레타아피인도네시아(PT Kereta Api Indonesia (Persero), KAI, https://www.kai.id ) 매표소에서 고속철도를 타라고 알려주었다. 반둥역에서는 고속철도를 탈 수 있는 파달라랑역(Stasiun Padalarang)을 연결하는 무료 셔틀열차가 출발한다. 고속철도 승차권 구입을 문의하자 직원이 직접 나와서 셔틀열차 맞이방으로 나를 인계하여 주었다. 셔틀열차 맞이방은 고속철도 운영사인 인도네시아 중국..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9e54/btsKZDZqHsI/GiIz9uPx1kqtB6sHeUMwBk/img.jpg)
이번 인도네시아 여행에서는 2023년 10월 2일에 개통한 고속철도를 승차하였다. 우리나라가 2004년에 처음으로 개통되었을 때에는 최고속도 300km/h 이상을 내는 고속철도로는 7번째였다. 현재는 15개국에서 300km/h 이상으로 달리는 고속철도를 보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늦게 개통하였지만 중국의 기술을 받아들여서 세계에서 2번째로 빠른 350km/h로 달리는 고속철도여서 다른 철도 선진국들의 최고속도를 뛰어넘어 버렸다. 남반구에서 최초이고 동남아시아에서도 최초의 고속철도가 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 철도는 차량을 포함한 여러 기술력이 떨어지는 상황이어서 자체적으로 할 수 없고 다른 철도 선진국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여러 나라가 인도네시아 고속철도 사업에 진출하고자 경쟁을 펼쳤으나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TVcva/btsJVknEJNF/JOvKKU9PWnLcPM3nAgiaI0/img.jpg)
2024년 11월 2일에 서해선 연장 일부 구간이 개통할 예정이다. 주말을 맞아서 경기도에 있는 서해선의 새로 개통할 역들을 운동 삼아서 둘러보았다. 운동이 들어가는 건 일부 역들은 아직 대중교통이 없어서 2km 넘게 걸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1. 서화성역 시화호 간척지로 개발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 내에 있어서 주변에 도로만 지나가고 아무 것도 없는 위치에 있다.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1.7km를 걸어가야 하지만 인도가 잘 되어 있어서 걷기에 좋다. 서해선과 신분당선 차량기지가 인근에 있어서 선로는 많으나 여객 수요는 많지 않을 걸로 예상하였는지 건물이 작다. 2. 화성시청역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 시내에 있고 인근에 아파트 단지가 있어서 연결하는 길이 이미 있다. 고가로 선로가 지나가고 승강장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mG8C/btsIDUaXKvQ/2kGKSYblZrDDlzzM9g9GTK/img.jpg)
츄부국제공항[中部国際空港, https://www.centrair.jp ]에서 나고야철도[名古屋鉄道, https://top.meitetsu.co.jp ]를 타고 메이테츠나고야역[名鉄名古屋駅]을 지나면 철길은 지상으로 올라오고 사코역[栄生駅]에 도착한다. 사코역은 1면 2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사코역과 나란히 JR도카이[JR東海, https://jr-central.co.jp ]의 토카이도본선[東海道本線]과 토카이도신칸선[東海道新幹線]의 철길이 있다. 여기에는 역은 없기에 열차는 모두 통과한다. 사코역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없어서 장애물 없이 지나가는 열차를 볼 수 있다. 다만 승강장으로 승객이 떨어지거나 통과하는 열차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에 직원이 머물면서 안전을 확인하고 있다. 나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I0w4M/btsIzqHTcI0/PBKsvCMd6XlUIEh3bjqEc1/img.jpg)
호쿠리쿠신칸선[北陸新幹線]은 기존에서는 카나자와[金沢]까지만 운행하였지만 2024년 3월 16일에 츠루가[敦賀]까지 연장하여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연장 이전부터 호쿠리쿠신칸선 선로는 차량기지인 하쿠산종합차량소[白山総合車両所]까지 연결되어 있었고 회송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하쿠산시[白山市, https://www.city.hakusan.lg.jp ]에서는 비록 신칸선이 정차하는 역은 없지만 하쿠산종합차량소를 활용하여서 신칸선을 견학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고자 하여서 2022년에 인근 농지에 건설을 시작하여서 2024년 3월 13일에 개관하였다. 일본에서도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철도박물관이다. 공식 명칭은 하쿠산시립고속철도비지터센터[白山市立高速鉄道ビジターセンター, https://train-park.c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Jv1w/btsHSbSWK7c/evuZtKfglrKXK6dXSQxmSK/img.jpg)
올해 3월 연장 개통하면서 호쿠리쿠신칸선[北陸新幹線]에는 코마츠역[小松駅]이 신설되었습니다. 역 서쪽에는 세계적인 건설 기계 제작사인 코마츠제작소[小松製作所, https://www.komatsu.jp ]가 있는데 일부는 코마츠노모리(こまつの杜, https://komatsunomori.jp )라는 이름의 박물관으로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코마츠노모리에는 초대형유압굴삭기 PC4000과 초대형덤프트럭 930E를 전시하여 놓고 정해진 시간대에는 조종석에 올라가서 앉아볼 수 있습니다. 비록 코마츠노모리 관람을 하지 않더라도 신칸선을 타고 지나가면 이들 초대형 장비를 볼 수 있기에 코마츠라는 도시는 기계공업이 발달한 곳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겠지요. 어릴 때에 동해남부선을 타면서 울산을 지나가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y5dlM/btsEXtvQo0W/trQb23yQtmThUidbTRTsC0/img.jpg)
단선으로 구불구불해서 시간이 많이 걸리던 중앙선도 계속해서 복선으로 개량이 되어 가면서 현재는 안동~영천 이외에는 모두 복선전철로 개량이 완료되었다. 남은 안동~영천 역시 복선전철로 개량하기 위한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의성역(義城驛)은 중앙선 열차를 타고 지나가기는 자주 하였지만 역 자체를 방문하는 건 13년만이다(관련 글 보기). 그 사이에 많이 변하여서 예전 역이나 승강장 모습은 아예 남아있지 않았다. 진입로는 아직 공사 중이지만 건물은 완공되어서 사용하고 있었다. 이전 건물은 직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새로운 건물은 둥글게 만들었고 유리를 많이 사용하여서 안에서는 자연채광으로 햇빛이 비치었다. 대합실은 조금 더 넓어지고 열차 출발 및 도착을 안내하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발매기는 설치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