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8. 2월 1~2일 - 벽돌로 고풍스럽게 장식을 해 놓은 신야마구치역[新山口駅]
우베신카와역[宇部新川駅]에서 탄 열차는 105系 전동차 3량 편성이었다. 한때에는 신야마구치역[新山口駅]에서 신칸선[新幹線]으로 갈아는 승객들을 위하여 쾌속 열차를 운행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만 남아 있다.
No. 24 철도편(JR서일본) : 우베신카와[宇部新川] 18:36→신야마구치[新山口] 19:25, 이동 경로 보기
열차번호 및 종별 : 1860M 普通, 거리 : 27.1km, 편성 : 105系 3兩(가장 앞 차량 クモハ105-531)
[사진 464 : 우베신카와[宇部新川]에서 신야마구치[新山口]까지 승차한 105系 전동차.]
[사진 465 : 105系 전동차의 차내에는 롱시트만 있다.]
밤이라서 밖의 경치는 볼 수 없으므로 차내에서 쉬었다. 역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속도를 낼 여유가 없다. 그래도 역마다 내리고 타는 승객이 있다.
신야마구치역의 재래선에서는 우베선[宇部線], 산요본선[山陽本線], 야마구치선[山口線]이 만나고 산요신칸선[山陽新幹線]을 탈 수 있다. 야마구치시[山口市] 외곽의 오고리[小郡]에 위치하고 있어서 2003년 9월 30일까지는 오고리역[小郡駅]이었으나 야마구치현[山口県]의 관문이어서 신칸선 노조미(のぞみ) 정차와 함께 신야마구치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사진 466 : 신야마구치역[新山口駅]에는 SL야마구치호(やまぐち号)을 탈 수 있는 승강장에 대한 안내가 바닥에 있다.]
[사진 467 : 신야마구치역의 역장 사무실 입구. 한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야 한다.]
[사진 468 : 야마구치선 열차가 출발하는 시각을 한자로 표시하여 놓았다.]
[사진 469 : 1번 승강장에는 야마구치선 노선도와 주요 역을 안내하고 있다.]
[그림 470 : 신야마구치역의 기념 스탬프.]
[사진 471 : 신야마구치역의 매표소도 벽돌로 고풍스럽게 꾸며놓았다.]
[사진 472 : 신야마구치역의 북쪽 출입구.]
[사진 473 : 신야마구치역의 신칸선 출입구.]
[사진 474 : 신야마구치역에서는 버스 승차권을 살 수 있는 매표소도 있다.]
[사진 475 : 신야마구치역은 야마구치현[山口県]의 관문이어서 현 내 각 지역에 대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신야마구치역은 1979년부터 운행을 개시한 증기기관차가 견인하는 야마구치선의 관광 열차인 SL야마구치호(やまぐち号, http://c571.jp )의 출발역이다. SL야마구치호가 출발하는 1번 승강장에는 붉은 벽돌로 고풍스럽게 꾸며 놓았다. 한자도 일본에서 널리 쓰이는 약자가 아닌 정자로 표시하고 있으며 과거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야 한다. 야마구치선 노선도와 함께 주요 관광지와 요리를 소개하고 있다. 신야마구치역을 이름이 바뀐 이후에도 오고리역이라는 이정표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철거되어서 찾을 수 없었다. SL야마구치호는 봄부터 가을까지 운행하여서 겨울에 주로 일본을 여행하는 나에게는 아직까지 탈 기회가 없었다.
오늘 숙소는 히가시히로시마역[東広島駅] 부근에 있다. 이름과는 다르게 히로시마시[広島市]에 있는 게 아니라 동쪽에 히가시히로시마시[東広島市]가 따로 있다. 히로시마역과는 약 30km 정도 떨어져 있고 신칸선만 정차한다. 코다마(こだま)를 타면 환승 없이 갈 수 있지만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리므로 히로시마역[広島駅]까지는 히카리(ひかり)를 타고 가다가 환승하기로 하였다.
[사진 476 : 신야마구치역 신칸선 승강장은 2면 2선이고 가운데에 통과선이 2선 있다.]
[사진 477 : 신야마구치역 신칸선의 이정표.]
[사진 478 : 신야마구치역 신칸선 승강장의 열차 출발 안내.]
No. 25 철도편(JR서일본) : 신야마구치[新山口] 20:12→히로시마[広島] 20:45, 이동 경로 보기(시각표 변경으로 열차 및 시각 정보는 다릅니다)
열차번호 및 종별 : 582A 新幹線 ひかり582号, 거리 : 132.8km, 편성 : 700系 8兩(1号車 723-7001)
[사진 479 : 산요신칸선[山陽新幹線] 구간에서 히카리레일스타로 주로 운행하는 700系 7000번대 전동차.]
노조미는 JR패스를 사용하는 나는 탈 수 없으므로 히카리를 탔다. 히카리레일스타(ひかりレールスター)인 700系 7000번대 전동차가 당첨되었다. 산요신칸선 역시 노조미가 늘어나면서 히카리는 점점 줄어들어서 JR패스로는 이용하기가 불편해지고 있다. 히카리레일스타도 2010년 3월 시각표 변경으로 5왕복이 임시열차로 바뀌었다.
[사진 480 : 히로시마역[広島駅] 신칸선의 이정표.]
[사진 481 : 히로시마역 신칸선 승강장의 열차 출발 안내. 이 역에서 코다마와 상급 열차 간의 완급 결합이 이루어진다.]
[사진 482 : 나란히 정차하고 있는 100系 신칸선 전동차.]
히로시마역의 신칸선 승강장은 2면 4선인데 바로 갈아탈 수 있게 되어 있다. 100系 신칸선 전동차가 대기하고 있다. 제13편에서 나왔듯이 이 차량에는 흡연차가 있으니 금연차인 2호차에 앉았다.
No. 26 철도편(JR서일본) : 히로시마[広島] 20:49→히가시히로시마[東広島] 21:02, 이동 경로 보기
열차번호 및 종별 : 776A 新幹線 こだま776号, 거리 : 31.8km, 편성 : 100系 6兩(2号車 126-3039)
[사진 483 : 히가시히로시마역[東広島駅] 승강장의 열차 출발 안내.]
[사진 484 : 히가시히로시마역의 이정표.]
[사진 485 : 히가시히로시마역의 승강장은 2면 2선이고 가운데에 통과선이 2선 있다.]
[사진 486 : 히가시히로시마역의 매표소와 개찰구. 승객은 적지만 열차가 다니는 밤 늦게까지 매표소가 문을 연다.]
[그림 487 : 히가시히로시마역의 기념 스탬프.]
13분을 달려서 히가시히로시마역에 도착하였다. 히가시히로시마역의 승강장은 2면 2선이고 가운데에 통과선이 2선 있다. 다른 신칸선의 역과는 달리 고가가 아닌 지상에 승강장이 있고 역 건물은 남쪽에만 있다.
히가시히로시마역도 제16편에 나왔던 아사역[厚狭駅]처럼 지자체의 요구로 1988년 3월 13일에 신설되었다. 기존선과의 환승이 불가능하고 시내에 해당하는 산요본선 사이죠역[西条駅]에서 멀고 코다마만 정차(히카리는 1왕복만 정차)하고 있어서 산요신칸선에서도 이용객이 적은 역 중의 하나이다.
[사진 488 : 2010년 1월 28일에 토카이도신칸선[東海道新幹線]의 전차선이 절단되는 사고가 일어났는데 JR토카이[東海]의 관계자가 나사 조립을 잊어버린 게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관련 글 보기).]
그렇지만 나에게는 이런 상황 덕분에 저렴하게 밤을 보낼 수 있다. 히가시히로시마역 앞에 있는 토요코인[東横イン, http://www.toyoko-inn.kr ]의 싱글룸 요금이 히로시마나 사이죠역 부근보다도 2,000엔 가량 저렴하고 월요일이라서 20% 할인까지 받아서 3,360엔이 되었다. 다른 토요코인과는 달리 남자 직원이 체크인 카운터에 있고 내가 외국인이라서 영어로 이야기를 한다. 나야 일본어보다는 영어가 더 편하다.
[사진 489 : 히가시히로시마역에서 조금만 나오면 토요코인[東横イン]이 있다.]
[사진 490 : 히가시히로시마역은 다른 신칸선 역과는 달리 승강장이 높지 않게 있다.]
다음 날 아침 일찍 일어나서 식사를 하고 서둘러서 숙소에서 나왔다. 비가 조금씩 오고 안개가 많이 꼈다. 아침 시간이라서 히가시히로시마역에는 히로시마로 출근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음으로는 '2월 2일 - 게이비선[芸備線]을 타고 미요시[三次]로'가 연재됩니다.
'철도 여행기 > 2010년 일본 설3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 고노카와[江の川]를 따라서 이어지는 산코선[三江線](上) (0) | 2010.03.21 |
---|---|
19 - 게이비선[芸備線]을 타고 미요시[三次]로 (0) | 2010.03.20 |
17 - 1량짜리 전동차가 운행하는 종착역인 나가토모토야마역[長門本山駅] (0) | 2010.03.19 |
16 - 이단 지붕의 목조 역사가 많은 미네선[美祢線] (0) | 2010.03.18 |
15 - 귀국하는 배가 출발하였던 항구가 있는 센자키[仙崎] (0) | 2010.03.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국
- 경상남도
- 동해남부선
- 대만
- 타이완
- 폐역
- 고속철도
- 경상북도
- 시외버스
- 경전선
- 일본
- 전라남도
- 철도
- 유럽
- 한국철도
- Sweden
- 스웨덴
- 복선전철화
- 부산
- JR니시니혼
- KTX
- 간이역
- 강원도
- 코레일
- 무인역
- 철도공사
- 북유럽
- 기차 여행
- 노르웨이
- 무궁화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