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년 4월 1일 우리나라에서는 고속철도가 개통되어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시에 교외선은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서울에서 살면서 가끔 타던 노선인데 더 이상 탈 수 없게 되었다. 이후에 가끔 관광열차가 운행하기도 했으나 거의 방치되고 있다가 21년이 지난 2025년에 다시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번 생애에는 여객 열차를 더 이상 못 보는 줄 알았는데. 1994년부터 2004년까지 교외선을 이용하기는 했다. 당시에는 디지털카메라가 없었고 필름카메라를 이용하여서 사진을 많이 찍을 수 없었고 컴퓨터의 저장공간을 찾아보았으나 남은 사진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나마 이후에 일산에 잠시 살 때에 대정역과 원릉역은 방문한 적이 있었다. 과거에도 철도청에서 교외선 수요를 늘리기 위하여 여러 가지 ..

군위군(軍威郡, https://www.gunwi.go.kr )은 2023년 7월 1일에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 소속으로 바뀌었다. 군위군민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군위군 농어촌버스가 군위군 마을버스로 바뀌고 대구 시내를 연결하는 급행버스가 신설되고 교통카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되어서 편의성이 매우 높아졌다. 덕분에 교통카드를 찍고 군위군 마을버스를 타고 우보역(友保驛)까지 이동할 수 있었다. 다만 마을버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바로 가지는 않고 중간에 다른 마을에 들어갔다가 나와서 시간이 조금 더 걸렸다. 우보역 버스정류장에서 내렸는데 우보역이 보이지 않았다. 스마트폰을 켜서 위치를 확인하여 보니 우보역 입구 도로를 일부 옮기면서 버스정류장 위치가 바뀌었다. 조금 서쪽으로 걸어..

과거에는 부산에서 서울까지 통일호를 타도 12시간이나 걸렸던 느린 철도였던 중앙선과 동해선 남부 구간이 모두 복선전철화되었다. 이제는 KTX-이음이 최고 250km/h까지 내면서 달리고 전구간 소요 시간도 4시간이 걸리지 않아서 엄청나게 줄어들었다. 중앙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철도는 경쟁력이 많이 떨어졌으나 이제는 고속도로를 달리는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보다 더 빨라졌다. 다만 아직 안동 이남으로는 열차 운행 회수가 많지 않아서 시각표를 보고 시간을 잘 맞추어서 가야 한다. 또한 수요도 같이 늘어나서 승차권을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예약 대기까지 하였는데 다행히 취소한 승객이 있는지 신청 좌석이 배정되었다는 카카오톡을 받았다. 예약한 열차는 ‘ITX-마음’인데 톡에는 ‘새마을’이라고 나와 있었다. 열차 이름만..

사실 이번 여행에서 가장 걱정한 부분은 우기라서 계속 비가 내려서 여행이 가능하냐는 점이었다.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Bandar Udara Internasional Soekarno–Hatta, Soekarno–Hatta International Airport, https://soekarnohatta-airport.co.id )에서 내려서 보니 소나기가 내렸는지 땅은 젖어있지만 비는 내리고 있지 않았다. 작년에 온 적이 있어서(관련 글 보기) 바로 도착비자를 받으러 가지 않고 자동입국심사기 앞에 있는 ATM으로 향하였다. ATM에서 인도네시아 루피아를 충전하여 놓은 신한SOL트래블체크카드로 현금을 찾아서 창구에서 도착비자를 구매하였다. 이전에 카드로 결제하였을 때는 수수료가 조금 더 비싸서 Rp524,5..

해마다 4회 이상 해외여행을 다녀왔으나 대한항공(https://www.koreanair.com )과는 인연이 없는지 이용한 적이 없었다. 다만 자회사인 진에어(https://www.jinair.com )는 승선한 적이 있고 이제는 합병이 되면서 사라지게 될 아시아나항공(https://flyasiana.com )은 여러 번 승선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대한항공을 꼭 타기 위해 준비하고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특별히 당기는 것도 아니었다. 작년 10월에 인도네시아를 처음으로 다녀왔다(관련 글 보기). 당시 여행에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다른 지역들을 둘러보기 위하여 항공권을 찾아보았다. 저렴한 중국 경유 항공편을 고려하였으나 가루다인도네시아(Garuda Indonesia, https://www.garu..

부산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龜浦驛)은 낙동강 바로 옆에 있어서 이전에는 건물에 강 쪽으로 작은 전망대가 있었다(관련 글 보기). 어느 순간인가 여기를 막아놓고 공사를 하고 있었다. 이번에 구포역에 가니 낙동강 쪽으로 개방이 되어 있고 '감동나룻길 리버워크'라고 이름을 적어 놓았다. 문을 지나면 밖인데 강변대교 위를 지나서 낙동강 위로 산책로가 있다. 혹시나 강변대교로 무언가 떨어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 강변대교 위쪽에로는 지붕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도 사고를 막기 위해서 안전요원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이 나무로 된 전망대가 있어서 망원경이나 눈으로 구포대교나 구포철교를 볼 수 있다. 이전에는 구포역 건물의 한쪽에 있는 전망대여서 방해물이 많았지만 이제는 방해물 많이 줄어들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레일
- 강원도
- 유럽
- 노르웨이
- 고속철도
- 철도
- 스웨덴
- 영국
- 한국철도
- KTX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일본
- 타이완
- 복선전철화
- 부산
- 철도공사
- 전라남도
- 폐역
- JR니시니혼
- 대만
- 시외버스
- 간이역
- 무인역
- Sweden
- 북유럽
- 경전선
- 기차 여행
- 무궁화호
- 동해남부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