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과거에는 부산에서 서울까지 통일호를 타도 12시간이나 걸렸던 느린 철도였던 중앙선과 동해선 남부 구간이 모두 복선전철화되었다. 이제는 KTX-이음이 최고 250km/h까지 내면서 달리고 전구간 소요 시간도 4시간이 걸리지 않아서 엄청나게 줄어들었다. 중앙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철도는 경쟁력이 많이 떨어졌으나 이제는 고속도로를 달리는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보다 더 빨라졌다. 다만 아직 안동 이남으로는 열차 운행 회수가 많지 않아서 시각표를 보고 시간을 잘 맞추어서 가야 한다. 또한 수요도 같이 늘어나서 승차권을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예약 대기까지 하였는데 다행히 취소한 승객이 있는지 신청 좌석이 배정되었다는 카카오톡을 받았다. 예약한 열차는 ‘ITX-마음’인데 톡에는 ‘새마을’이라고 나와 있었다. 열차 이름만 다르지 실제 등급은 새마을이 맞기는 하다.
드디어 출발하는 날이 되고 무사히 ITX-마음 열차를 타고 군위역(軍威驛)으로 향하였다. 무궁화호 시절에는 영주역에서 기관차 교대하는 걸 보러 갔었는데 이제는 그런 게 없어서 계속 자다가 군위역에 도착하였다. 의성역 이후로는 새로 복선전철화된 구간인데 역시 ITX-마음은 시각표가 여유가 있어서 빨리 달리지는 않았다. 그래도 군위역에는 예정보다 1분 일찍 도착하였다.
군위역의 이정표에는 북쪽으로는 의성역이고 남쪽으로는 영천역과 하양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북영천역이 영천역 이전에 있는데 복선전철화가 되고 나서는 신호장으로 격하되어서 더 이상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을 예정으로 보인다. 영천시는 경부고속선은 그냥 통과하고 중앙선과 대구선을 연결하는 열차도 통과할 정도로 외면받고 있다.
군위역 승강장은 2면 2선이고 가운데에는 통과선이 2선이 있다. 같은 승강장 구조를 가진 아화역과는 달리 통과선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어서 철길로 건너가기가 힘들게 해 놓았다. 이곳은 준고속선이라서 최고 250km/h까지 낼 수 있게 개량될 예정이라서 안전을 위해서는 필요하다.
계단을 내려가면 고객대기실과 매표소가 있다. 군위군 인구가 2만명대이고 군위역은 중심가인 군위읍에서 꽤 떨어져 있어서 크게 수요를 기대하기 어렵다 보니 작게 만들었다. 자동발매기 1대와 매표소 창구 1곳이 있다. 자동발매기에서는 입장권도 구매할 수 있다. 고객대기실에는 군위역에서 탈 수 있는 시내버스 시각표와 택시기사 연락처가 붙어 있다. 버스 시각표에서는 빠져 있지만 대구 시내로 바로 갈 수 있는 대구시내 급행버스 9-2번을 탈 수 있다. 다만 하루에 4회만 운행한다.
군위역 밖으로 나왔다. 건물은 단층으로 작다. 주차장도 넓게 만들지 않았고 무료로 주차가 가능하다. 다만 군위역 수요가 적다고는 하지만 주차장은 충분하지 않아 보였다. 군위역 앞의 도로는 철길 아래로 이어져서 원산리로 갈 수 있다. 철길 아래 터널 앞에서 회차가 가능하게 만들어놓았다. 처음 운전해서 오는 사람이라면 조금 헛갈릴 수 있다.
철길 아래 터널을 지나서 원산리 방향으로 갔다. 이쪽으로 오가는 사람들이 적은지 2개의 터널 중의 하나는 인도인데 막혀 있어서 차도로 걸어가야 했다. 서쪽으로 멀리 거북산이 보이는데 정상에는 나무 일부만 남아있어서 홋카이도[北海道] 비에이[美瑛] 같다.
군위역에서 300m 정도 걸어가면 국도 28호선과 만나는 연계1리이다. 군위역 앞은 논과 밭이어서 이곳이 가장 가까운 역세권이다. 논과 과수원 너머로 고가에 승강장이 있는 군위역이 잘 보였다.
여기서 북쪽으로 조금 더 걸어가면 과거에 연계리에서 시외버스가 정차하던 장소가 있다. 현재는 공터로 남아있고 군위군 마을버스만이 정차하고 있다.
이전에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이 연계버스정류소 슈퍼 간판 사진을 올려놓았으나 내가 갔을 때에는 간판이 이미 떨어져나가서 볼 수 없었다(관련 로드뷰 보기). 미미하기는 하지만 군위역이 생기면서 역세권이어서 변화가 생긴 것일까?
* 작성일: 2025년 3월 11일
방문일: 2025년 3월 1일
'철도 이야기 > 중앙선의 역(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는 선로가 철거되고 건물과 노반이 방치된 우보역(友保驛) (0) | 2025.03.17 |
---|---|
새로운 건물을 사용하고 있고 승강장이 확장되어서 복선전철화를 기다리고 있는 중앙선 의성역(義城驛) (0) | 2024.02.18 |
산 속 마을의 교행역이었으나 노란 꽃이 가득한 죽령역(竹嶺驛) (0) | 2022.06.13 |
임시승강장은 사라졌지만 복선전철화되면서 승강장 공간은 남겨놓은 승문역(繩文驛) (0) | 2021.03.01 |
탑보다는 성 모양을 한 건물을 갖추고 있는 탑리역(塔里驛) (0) | 2013.06.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폐역
- 무궁화호
- 철도공사
- 스웨덴
- 코레일
- 시외버스
- 복선전철화
- 기차 여행
- KTX
- 경전선
- 무인역
- Sweden
- 동해남부선
- 타이완
- 전라남도
- 경상남도
- 영국
- 고속철도
- 철도
- 강원도
- 북유럽
- 노르웨이
- 대만
- 한국철도
- 간이역
- 유럽
- 부산
- 경상북도
- JR니시니혼
- 일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