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직은 언론에서도 잘 언급하지 않고 있어서 조용한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인 대구에서 부산까지의 개통은 2010년 11월 1일로 이제는 2달도 채 남지 않았다. 신경주역은 2009년 2월에 한 번 방문한 적이 있다(관련 글 보기). 당시에는 선로가 완공된 상태였고 역 건물의 모양만 갖추고 있었다. 개통하기까지 2달도 남지 않은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 경주에서 동해남부선 역의 답사를 하고 남은 시간이 있어서 신경주역(新慶州驛)을 향하여 달렸다.
도로의 이정표에는 이전과는 달리 신경주역이 나와 있었다. 물론 아직 개통이 되지 않아서 신경주역으로 갈 사람은 공사 관계자 이외에는 없으니 현재로는 표기만 되었고 실제로는 완전 믿을 수는 없다.
신경주역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현재는 좁은 904번 지방도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신경주역이 개통된 이후까지 이런 상황이면 곤란하므로 새로운 연결 도로를 만들고 있다. 도로는 고가로 이어져서 경부고속도로를 지나서 입체 교차로 4번 국도와 경주 시내로 들어가는 도로와 연결된다.
지금은 연결 도로가 공사 중이므로 904번 지방도로 들어간다. 중간에 고가가 있지만 이건 철길이 아니라 연결 도로이다. 이 도로는 단순히 신경주역만 연결되는 게 아니고 경주 시내 남쪽의 내남면까지 이어진다. 경주 남부로 가려면 이쪽으로 나올 필요가 없이 신경주역에서 내남면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잠시 넓은 길이 있었지만 다시 길은 예전처럼 좁아진다. 산으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시골 마을이지만 신경주역은 그에 맞지 않게 우뚝 솟아 있다. 신경주역을 앞두고 다시 길이 넓어진다. 이전에는 신경주역 동쪽으로 통과하는 길이 있었으나 공사가 진행되면서 서쪽으로 바뀌었다. 참고로 현재 이 도로에는 경주시내버스 332번(노선도 및 시각표 보기)이 운행하고 있으며 화천초등학교에서 내리면 된다. 물론 신경주역이 개통되면 버스 노선은 늘어나서 쉽게 올 수 있게 될 것이다.
신경주역은 선로가 고가에 있어서 출구는 북쪽과 남쪽으로 있는데 북쪽이 정면이고 앞에는 공원이 꾸며져 있다. 도로보다는 높아서 공원의 모습을 볼 수 없다.
신경주역 바로 앞에는 경주초등학교(http://gyeongju.es.kr ) 화천분교가 있다. 전에 방문을 할 때에는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였는데 그 사이에 폐교가 되어 버려서 들어갈 수 없다. 그렇지만 학교 담장에서 신경주역의 모습을 담을 수 있다. 폐교 뒤에 자리잡은 고속철도역? 무언가 어울리지 않는다. 역도 그렇지만 학교도 사람이 사용하지 않으면 더 이상 놓아두지 않는지 운동장에는 이전과는 달리 풀이 많이 자랐다. 주변에는 가을을 앞두고 벼가 익어가고 있다.
신경주역 남쪽으로도 출구가 있지만 크지 않다. 방문한 날에는 진입로 포장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신경주역의 진입로 중의 하나가 되겠지만 현재는 포장이 되어 있지 않았다. 고가로 있는 선로 아래를 지나서 신경주역 북쪽으로 갔다.
선로가 있는 위로 올라가는 길이 있는데 여기서는 좀 멀지만 경부고속선을 볼 수 있다. 가끔씩 시운전하는 KTX 열차가 지나간다. 실제 상황에 어느 정도 맞추는지 신경주역에 정차하였다가 출발하는 시운전 열차도 있고 고속으로 바로 통과하는 열차도 있다.
고속선이므로 선로 안에는 들어갈 수 없다. 부근의 터널 입구에는 차단판을 선로 옆에 설치하여 놓았는데 이곳에서는 동해남부선 울산~포항 구간의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가 완성되면 현재의 경주역이 아닌 이곳 신경주역을 지나가게 되어서 고속열차와 환승할 수도 있고 일부 열차는 직결하여 운행하게 된다. 신경주역에는 기존선 열차가 지나갈 수 있는 노반만 만들어 놓았다.
근처 산을 올라가는 게 가장 좋겠지만 이곳에서도 신경주역과 그 앞의 광장이 내려다 보인다. 바람이 불어서 시원하기도 하다.
신경주역 광장으로 갔다. 광장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포장 공사가 한창이지만 광장은 거의 완성된 상태였다. 물론 주변은 논과 밭이고 멀리 진입도로 공사 현장이 보인다. 근처 농가에서는 축사가 있어서 신경주역에서는 소똥 냄새가 진하게 바람을 타고 온다.
광장 한쪽에는 버스정류장이 있다. 내가 보아서는 신경주역에서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장소이다. 버스정류장에는 지붕이 설치되고 의자가 놓이겠지만 역 건물 사이에는 지붕이 없다. 비가 오지 않는 맑은 날에는 문제가 없지만 비바람이 몰아치는 경우에는 비를 맞거나 우산을 펴고 정류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왕이면 비바람을 피할 수 있고 버스를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는 고가 아래에 설치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녹색 성장과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자고는 하지만 대중교통 환승은 아직도 너무나도 불편하다.
버스정류장 이외에도 자전거 보관소가 있다. 904번 지방도 입구까지는 자전거 도로가 되어 있지만 904번 지방도는 사실 좁은 도로라서 자전거 전용 도로는 없고 새로 생기는 연결 도로는 자동차 전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자전거를 타고 이 역까지 올 사람들이 있을지는 좀 의문이기는 하다. 경주역에서 여기까지의 거리는 11.1km여서 자전거를 타면 1시간 넘게 걸린다.
천년고도 경주답게 광장을 만들었다. 광장에는 조형물이 있기는 하지만 경부고속철도 공사를 하면서 발굴된 문화재 일부를 전시하여 놓았다.
작은 무덤은 '경주 방내리고분군 1호 돌방무덤'이다. 방내리 일원의 구릉에 위치한 삼국시대 고분유적으로 경부고속철도 건설공사를 위하여 2005년 11월 15일부터 2007년 10월 8일까지 발굴조사하여 삼국시대 돌덧널무덤과 돌발무덤, 고려시대 돌넛널무덤을 확인하였다. 이중에서 1호 돌방무덤이 신경주역 앞의 광장에 복원되었다.
유리 아래에는 경주 덕천리 유적이 전시되어 있다. 경부고속철도가 지나가는 덕천리에서 발굴된 유적으로 청동기시대 울집터, 구심유구, 삼국~통일신라시대 지상식건물지, 구삼유구, 석축수로, 돌방무덤, 목탄가마, 삼가마, 고려 이후의 돌무덤, 기와가마, 독무덤 등의 113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삼국시대의 돌방무덤이 유리 아래에서 전시되어 있다.
공원에는 조형물과 함께 지붕이 설치되어 있어서 햇빛을 피하여 쉴 수 있는 공간이 있고 한쪽 구석에는 노천 공연장이 마련되어 있다.
광장에서는 신경주역 건물을 바로 보인다. 건물 앞에는 원형으로 무언가 만들어 놓았는데 12개의 기둥이 있고 각각에는 띠를 나타내는 동물을 그려 놓았다. 광장 가운데에는 철길이 있는데 2010년에 개통되어서 그럴까 철길의 끝에 있는 기둥에는 호랑이가 그려져 있다. 역 건물은 요즈음에 많이 볼 수 있는 유리궁전이기는 하지만 입구에는 기와 모양을 한 지붕이 있고 승강장의 외부 벽에는 유리에 한옥에서 볼 수 있는 문양이 들어가 있다.
역 건물로 들어가려면 계단을 올라가야 하는데 버스정류장 방향으로는 경사로로 만들었다. 장애우나 트렁크 가방을 가지고 있는 승객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만들었다.
아직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았고 안전상의 이유로 역 건물 안으로는 들어갈 수 없다. 대합실에도 기둥마다 12지를 나타내는 동물의 상이 새겨져 있다. 천장 가운데에는 전통 문양이 들어가 있다. 나머지는 다른 역과 별반 다르지 않고 고속철도 역이라서 그런지 천안아산역과 비슷한 느낌이 든다.
이제 개통이 얼마 남지 않은 신경주역. 이 역에 고속열차가 정차하게 되면서 경주 지역의 교통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기대하여 보자.
'철도 이야기 > 역(驛,Station) 사진(대한민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이 연상되는 울산의 새로운 현관인 KTX 울산역(蔚山驛) (0) | 2010.11.11 |
---|---|
사천공항에 가까운 잘 보존되어 있는 진삼선 사천역(泗川驛) (0) | 2010.10.02 |
같은 모양으로 새로 만들어져 전시되고 있는 대구선 반야월역(半夜月驛) (0) | 2010.08.09 |
대구선에서 유일하게 여객 열차가 정차하는 하양역(河陽驛) (0) | 2010.08.01 |
읍에 있지만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대구선 금호역(琴湖驛) (0) | 201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