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선 죽령역(竹嶺驛)은 열차 운행이 끝난 후 10일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직접 방문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아직 자가용이 나오기 전이기도 하여서 대중교통으로 갔다. 죽령으로 가는 단양농어촌버스를 타고 용부원4리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대강면사무소가 있는 장림리부터는 죽령을 넘어가기 위하여 급오르막이 이어지고 용부원4리 버스정류장도 그 중간에 있다. 산 아래에 있는 용부원1리 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이곳으로 오는 단양농어촌버스는 하루에 5왕복 운행한다. 중간에 단양역을 거치므로 사실 오기가 어려운 건 아니다. 다만 소백산으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는 죽령까지만 가기 때문에 희방사역 같은 영주 지역과 연계를 하려면 오래 기다리던지 등산로로 내려가야 한다. 버스정류장에서 400m 가량 걸어서 올라가면 죽령..
태백선 입석리역(立石里驛) 방문은 원래 계획에 없었으나 2012년 6월 27일에 솔안터널 개통에 따른 시각표 변경에서 무궁화호 1640열차가 정차하면서 추가되었다. 입석리역은 2008년 1월 1일부터 정기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았기에 어떻게 되어서 정차역으로 바뀌었는지 궁금하였다. 새로 철길이 정비되어서 통과역에서 정차역으로 되는 건 수도권전철 개통되는 경우에는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이미 중단되었는데 다시 정차역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입석리역은 태백선에 있지만 행정구역 상으로는 충청북도 제천시에 속한다. 그런 관계로 제천 시내에서 가기는 쉽지만 인접한 쌍룡역에서는 가끔씩 운행하는 제천시내버스를 타고 넘어와야 한다. 쌍룡역에서 오는 제천시내버스는 입석리역 앞까지 가지 않으므로 입석리역으로 들..
- Total
- Today
- Yesterday
- JR니시니혼
- 유럽
- 고속철도
- 일본
- 무인역
- 전라남도
- 한국철도
- 영국
- 북유럽
- 철도
- 무궁화호
- 폐역
- 철도공사
- 경전선
- 기차 여행
- 시외버스
- 복선전철화
- 부산
- KTX
- 노르웨이
- 코레일
- Sweden
- 타이완
- 경상남도
- 강원도
- 경상북도
- 동해남부선
- 간이역
- 스웨덴
- 대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