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2. 2월 2일 - 이와미카와모토[岩見川本]를 둘러보고 산코선[三江線]을 타고 바다까지
시각표 상으로는 이와미카와모토역[岩見川本駅]까지 운행하므로 열차에 내렸다. 1시간 39분 후에 고츠[江津] 행 열차로 출발하게 되는데 그 동안은 차량의 문을 닫고 엔진을 꺼 놓는다. 휴식 시간을 가진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사진 566 : 이와미카와모토역[岩見川本駅]에 도착한 키하 120系 디젤동차.]
[사진 567 : 이와미카와모토역에는 유치선과 함께 보선차의 차고가 있다. 승강장 사이는 육교로 연결된다.]
[사진 568 : 이와미카와모토역의 이정표.]
[사진 569 : 이와미카와모토역의 매표소와 개찰구.]
[사진 570 : 이와미카와모토역의 시각표.]
[그림 571 : 이와미카와모토역의 기념 스탬프.]
[사진 572 : 단층으로 된 이와미카와모토역 건물.]
이와미카와모토역은 2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유치선이 있고 보선차를 위한 차고가 갖추어져 있다. 산코선 내에서는 유일하게 직원이 근무하는 역이다. 그러나 이 역의 직원이 많은 무인역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창구가 열려 있는 건 아니어서 열차 출발 시각에 맞추어서 아침, 점심, 저녁에 짧게 문을 연다.

[사진 573 : 이와미카와모토역에서 출발하는 버스 시각표.]
역 앞에는 버스정류장이 있어서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는 물론 히로시마를 오가는 고속버스도 탈 수 있다. 이와미교통[石見交通, http://www.iwamigroup.jp )과 이와미투어(イワミツアー)에서 이와미긴잔호[石見銀山号]라는 애칭의 노선버스를 하루에 2왕복 운행하고 있다. 기차를 이용하면 히로시마까지 3시간 30분 가까이 걸리지만 노선버스로는 2시간 만에 갈 수 있다.
[사진 574 : 이와미카와모토[岩見川本] 마을에서 가장 큰 건물인 카와모토음악연극관(かわもと音戯館).]
[사진 575 : 이와미카와모토 마을에 있는 작은 절.]
[사진 576 : 이와미카와모토 마을에는 길이 좁지만 인도는 색으로 구별하고 있다.]
이와미카와모토는 행정구역상으로 시마네현[島根県] 오치군[邑智郡] 카와모토마치[川本町]이다. 주변으로는 산이 있고 고노카와[江の川]와는 제방으로 막혀 있어서 마을의 땅은 넓지 않다. 마을의 언덕에는 카와모토음악연극관(かわもと音戯館, 카와모토오토기칸, http://www.kawamoto-town.jp/otogi )이라는 커다란 건물이 있다. 마을 내의 길은 좁고 도시에서는 흔한 편의점도 찾기가 쉽지 않다.
[사진 577 : 제방 왼쪽으로는 산코선[三江線] 철길이 있고 오른쪽에는 고노카와[江の川]가 있다.]
고노카와의 물에서 마을을 보호하는 제방으로 올라가 보았다. 제방 바로 옆에는 철길이 있고 이와미카와모토역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제방에는 중간에 문이 있어서 고노카와의 수위가 높아지면 마을로 물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 놓았다.
역으로 돌아와서 고츠로 향하는 열차에 탔다. 행선지만 바뀌었을 뿐 여기까지 타고 온 차량이 그대로 운행한다. 그래도 하교하는 학생들이 타서 차내에는 비어있는 자리가 얼마 없다.
No. 30 철도편(JR서일본) : 이와미카와모토[岩見川本] 13:51→고츠[江津] 14:57, 이동 경로 보기
열차번호 및 종별 : 446D 普通, 거리 : 32.6km, 편성 : キハ 120系 1兩(キハ120-309, ワンマン)
[사진 578 : 이와미카와모토역에서 하마하라[浜原]로 향하는 열차와 교행한다.]
하마하라[浜原]로 가는 열차가 도착하면 이와미카와모토역을 출발한다. 종착역인 고츠역[江津駅]까지는 교행할 수 있는 역이 없으므로 이 열차가 지연되면 늦게 출발할 수 밖에 없다. 사진을 계속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과거에는 교행역이 제법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교행선이 철거되어 단선역이 되어 버렸다.
[사진 579 : 철길은 짧은 터널을 지나고 오른쪽의 도로는 언덕을 피하여 간다.]
[사진 580 : 인바라역[因原駅]은 교행선이 철거되었지만 오른쪽의 승강장에는 대합실과 이정표가 그대로 남아 있다.]
40km/h로 달리다가 30km/h 제한속도 구간에 진입하여 천천히 간다. 열차는 인바라역[因原駅]에 정차하였다. 원래 2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추었으나 현재는 교행선이 철거되어 단선역이다. 승강장을 연결하는 육교를 철거되었지만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대합실과 이정표는 그대로 남아 있다. 역 건물은 운송회사 사무실로 쓰이고 있다.
[사진 581 : 천천히 철교를 지나고 있다.]
[사진 582 : 곡선 구간에 있는 단선역인 시카가역[鹿賀駅].]
[사진 583 : 철길 못지 않게 도로도 상황이 좋지 않아서 30km/h 이하로 달리게 되어 있다.]
[사진 584 : 철길과 제방 사이에 도로와 논이 있다.]
[사진 585 : 승강장은 단선이지만 역 건물을 갖추고 있는 이와미카와고에역[石見川越駅].]
[사진 586 : 타즈역[田津駅]의 이정표.]
[사진 587 : 철길 바로 옆의 도로에는 무슨 일인지 자가용이 3대나 나란히 가고 있다.]
[사진 588 : 과거에는 2면 2선이었으나 교행선이 철거되어 현재는 승강장이 단선인 카와도역[川戸駅].]
[사진 589 : 고노카와가 범람하는 경우에는 제방에 있는 갑문이 닫히어서 열차가 다닐 수 없다.]
계속하여 30km/h 제한속도 구간이 이어진다. 짧은 터널에서는 30km/h로 달리고 긴 터널에서는 약간 속도를 내어 본다. 고노카와는 수량이 많아서 제방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강물은 볼 수 없다. 그러나 강을 건너는 철교는 높게 만들지 않아서 제방을 통과해야 한다. 제방에는 갑문이 설치되어 있어서 고노카와의 수위가 높아지면 강물이 마을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이 닫힌다. 물론 열차 운행도 할 수 없게 되며 제방 안에 있지 않은 구간은 철길은 피해를 피할 수 없다. 정차역은 2면 2선 구조였으나 선로가 철거되어서 단선역으로 되었는데 자갈은 물론 승강장에도 이정표가 그대로 남아 있다. 단선역으로 바뀐 게 오래되지 않는 모양이다.
[사진 590 : 나무로 된 역 건물이 있는 카와히라역[川平駅]에서는 2006년에 우리나라에서 캔커피 광고를 찍은 장소이다.]
카와히라역[川平駅]은 2006년에 조인성 씨가 출연한 맥스웰하우스 캔커피 광고의 배경이다(광고 동영상 보기). 기차를 타고 가면서 전망을 열심히 보아서 사실 그 광고의 느낌을 전혀 받지를 못하였다. 광고에서는 철저하게 우리나라 방식으로 바꾸어서 나무로 지은 역 건물이 오래된 것 이외에는 해외라는 게 느껴지지 않는다(관련 글 보기). 곳곳에 한글이 있고 표를 파는 직원도 철도청 제복을 입고 있을 정도였으니. 광고에서 나온 역명인 ‘장곡리’는 우리나라에는 비슷한 역이 없으므로 산코선의 일부 열차가 통과하는 비경역인 나가타니역[長谷駅]에서 나온 이름으로 추정된다.
[사진 591 : 고노카와가 바다와 흘러들어가는 고츠[江津]에는 공장과 다리가 있다.]
고노카와는 이제 동해와 연결되고 고츠에 있는 공단의 높은 굴뚝에서는 하얀 연기를 뿜어내고 있다. 언덕 바로 아래로 이어지는 철길은 기본이 30km/h로 달리고 가끔씩 속도를 내어 본다.
[사진 592 : 고츠 시내가 보이면 산코선 철길은 왼쪽으로 커브를 틀어서 고노카와에서 멀어진다.]
고츠 시내로 들어서면 산인본선[山陰本線]이 고노카와를 지나가는 철교가 보이고 산코선 철길은 왼쪽으로 꺾는다.
다음으로는 '2월 2일 - 요괴 열차가 다니고 역마다 요괴 이름이 지어진 사카이선[境線]'이 연재됩니다.
'철도 여행기 > 2010년 일본 설3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 야간열차, 신칸선, 특급 열차를 타고 마츠모토[松本]로 (0) | 2010.03.24 |
---|---|
23 - 요괴 열차가 다니고 역마다 요괴 이름이 지어진 사카이선[境線] (0) | 2010.03.23 |
21 - 고노카와[江の川]를 따라서 이어지는 산코선[三江線](下) (0) | 2010.03.21 |
20 - 고노카와[江の川]를 따라서 이어지는 산코선[三江線](上) (0) | 2010.03.21 |
19 - 게이비선[芸備線]을 타고 미요시[三次]로 (0) | 2010.03.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부산
- Sweden
- 동해남부선
- 코레일
- 강원도
- 영국
- 타이완
- 철도
- 한국철도
- 폐역
- 스웨덴
- KTX
- 간이역
- 복선전철화
- 경전선
- 북유럽
- 무인역
- JR니시니혼
- 기차 여행
- 유럽
- 일본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무궁화호
- 고속철도
- 노르웨이
- 대만
- 전라남도
- 철도공사
- 시외버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