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서는 대구에서 지하철 방화 사건이 일어난 이후 좌석이 불연재로 개조되면서 지하철 내의 좌석이 스테인레스로 바뀐 차량이 나타났다. 그런데 홍콩(香港, Hong Kong)의 도시철도에 해당되는 MTR(港鐵, Mass Transit Railway, http://www.mtr.com.hk ) 차량도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차량보다는 출입문이 더 많아서 좌석의 너비는 좁다.
노선에 따라서 차량의 선두 부분의 모양은 조금씩 다르지만 내부는 거의 비슷하다. 홍콩의 MTR 역시 우리나라의 도시철도처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 많은 편이다. 물론 노선마다 차이는 있어서 원래부터 MTR 소속이 아니었던 동철선(東鐵線, East Rail Line)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도어 위에는 타면 갈 수 있는 역이 표시되어 있다.
'철도 여행기 > 2009년 봄 남유럽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표시가 붙은 덴마크와 스웨덴을 오가는 X31K(ET) 전동차 (0) | 2009.11.04 |
---|---|
여행을 위한 준비물 모음 및 설명 (0) | 2009.08.27 |
홍콩(香港, Hong Kong)의 2층 노면 전차 (0) | 2009.07.24 |
철길 위로 지나가는 비행기 (0) | 2009.07.22 |
135일 간의 남유럽 철도 여행을 마치고 귀국 (0) | 2009.07.21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고속철도
- 복선전철화
- 경상북도
- 폐역
- 북유럽
- 전라남도
- 철도공사
- JR니시니혼
- 일본
- 무궁화호
- KTX
- 시외버스
- 영국
- 기차 여행
- 타이완
- 부산
- 스웨덴
- 대만
- 경상남도
- 동해남부선
- 철도
- 무인역
- 강원도
- 간이역
- 노르웨이
- 경전선
- 유럽
- Sweden
- 한국철도
- 코레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