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5. 2월 4~5일 - 신쾌속의 서쪽 종점인 반슈아코역[播州赤穂駅]으로

 

   다시 마이코역[舞子駅]으로 가서 먼저 오는 쾌속(快速)을 탔다. 쾌속이지만 아사기리역[朝霧駅]만 통과하고 모든 역에 정차하게 된다.

 

[사진 949 : 마이코역[舞子駅]의 개찰구 및 열차 출발 안내.]

 

[그림 950 : 마이코역의 기념 스탬프.]

 

[사진 951 : 폭설로 인하여 호쿠리쿠[北陸] 지역으로 운행하는 야간열차가 모두 운휴되었다.] 

 

No. 51 철도편(JR서일본) : 마이코[舞子] 20:24→니시아카시[西明石] 20:32, 이동 경로 보기
열차번호 및 종별 : 823T 快速, 거리 : 7.7km, 편성 : 223系 8兩(가장 앞 차량 クハ222-1004)

 

[사진 952 : 니시아카시역[西明石駅] 재래선 승강장의 이정표.]

 

[사진 953 : 니시아카시역 재래선 승강장. 쾌속은 보통으로 종별이 바뀌어서 히메지 방면으로 계속 운행(왼쪽)하고 케이한신완행선[京阪神緩行線] 열차는 이 역에서 되돌아간다(오른쪽).] 

 

   분명히 쾌속을 탔지만 니시아카시역[西明石駅]에 도착하여 보니 보통(普通)으로 종별이 바뀌었다. 복복선 구간이 니시아카시역에서 끝나면서 207系나 321系로 운행하는 케이한신완행선[京阪神緩行線]이 끝나게 되면서 이 역부터는 쾌속으로 운행하던 열차가 각역 정차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아카시역부터 보통으로 종별이 바뀌게 된다. 각역 정차 구간에서도 그대로 등급이 유지되는 신쾌속과는 차이가 있다.

 

[사진 954 : 니시아카시역의 개찰구. 신칸선을 타려면 개찰구를 2번 통과해야 한다.]

 

[그림 955 : 니시아카시역의 기념 스탬프.]

 

[사진 956 : 니시아카시역의 한산한 신칸선 대합실.]

 

[사진 957 : 니시아카시역 신칸선 승강장의 이정표.] 


   니시아카시역에서 신쾌속(新快速)으로 갈아타면 바로 숙소가 있는 반슈아코역[播州赤穂駅]까지 갈 수 있지만 짧게 신칸선[新幹線]을 타 보기로 하였다. 저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니시아카시역이지만 신칸선 개찰구를 들어가니 대합실은 텅 비어 있다. 그래도 신칸선 열차는 1시간에 2대 정도 운행하고 있다.

 

No. 52 철도편(JR서일본) : 니시아카시[西明石] 20:51→아이오이[相生] 21:14, 이동 경로 보기(시각표 변경으로 열차 호수는 다릅니다)
열차번호 및 종별 : 779A 新幹線 こだま507号, 거리 : 36.4km, 편성 : 100系 6兩

 

[사진 958 : 산요신칸선[山陽新幹線] 구간에서 코다마로 운행하는 100系 신칸선 전동차.]

 

[사진 959 : 니시아카시역의 신칸선 승강장.]

 

[사진 960 : 아이오이역[相生駅] 신칸선 승강장의 이정표.]

 

[사진 961 : 아이오이역의 신칸선 승강장.] 

 

   8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코다마(こだま)도 있지만 내가 탄 열차는 6량 편성이다. 히메지역[姫路駅]에 정차하고 나면 내려야 하는 아이오이역[相生駅]이다.

 

[사진 962 : 아이오이[相生]에서 5월 마지막 주말에 열리는 페론축제(ペーロン祭)에서 사용하는 배.]

 

[사진 963 : 아이오이역의 기념 사진 찍는 장소와 기념 스탬프.]

 

[그림 964 : 아이오이역의 기념 스탬프.] 


   계단을 내려가니 바로 재래선 승강장이 나온다. 아이오이역은 아이우에오 순서로 배열하였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역이라고 나와 있다. 이걸 보니 우리나라에서 가나다순으로 가장 먼저 나오는 역은 어딜까 궁금해졌다. 생각해보니 수도권전철 경원선의 가능역이다. 로마자 순서로 하면 서울지하철 5호선의 아차산역이 된다.

 

[사진 965 : 아이오이역 재래선 승강장의 이정표.]

 

[사진 966 : 아이오이역의 한산한 재래선 승강장.] 


   밤 늦은 시간이라서 역은 한산하고 조금 춥다. 승강장에는 아무도 없는데 열차 출발 시각이 되어가니 몇몇 사람들이 들어온다. 일부 신쾌속만 여기까지 오기 때문에 30분 간격으로 배차 간격이 늘어난다. 히메지[姫路] 이후에는 각역 정차이지만 제30편의 호쿠리쿠본선[北陸本線]과 제32편의 코세이선[湖西線]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쾌속이라는 이름으로 운행한다. 한번 신쾌속은 영원한 신쾌속이다.

 

No. 53 철도편(JR서일본) : 아이오이[相生] 21:42→반슈아코[播州赤穂] 21:54, 이동 경로 보기(시각표 변경으로 시각 정보는 다릅니다)
열차번호 및 종별 : 3591M 新快速, 거리 : 10.5km, 편성 : 223系 4兩+4兩(가장 앞 차량 クハ222-2013)

 

[사진 967 : 반슈아코역의 이정표.]

 

[사진 968 : 반슈아코역의 개찰구. 밤 늦은 시간이라서 오카야마[岡山] 방면의 열차는 모두 떠났다.]

 

[그림 969 : 반슈아코역의 기념 스탬프.]

 

[사진 970 : 토요코인[東横イン] 반슈아코에키마에[播州赤穂駅前]는 반슈아코역 대합실과 바로 연결되어 있다.] 

 

   역시 종착역을 앞두고 있어서 차내는 한산하다. 열차는 속도를 내어서 달리고 얼마 가지 않아서 반슈아코역[播州赤穂駅]에 도착하였다. 이미 오카야마[岡山] 방면의 열차는 막차가 떠난 상태이다. 숙소를 찾아야 하는데 역 건물과 바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가까울 수가.

 

[사진 971 : 토요코인 반슈아코에키마에의 아침 식사.]

 

[사진 972 : 반슈아코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토요코인 반슈아코에키마에.]

 

[사진 973 : 반슈아코역 광장에는 가운데 작은 공원이 있고 옆으로는 주차장이 있다.]

 

[사진 974 : 기와 지붕을 하고 있는 반슈아코역 건물.] 


   다음 날 아침 식사를 하고 숙소에서 나왔다. 오전 9시가 되어가서 그런지 역 주변은 한산하기만 하다. 1시간에 2대의 열차가 다니는 히메지 방면과는 달리 오카야마 방면은 1시간에 1대 정도만 열차가 출발한다. 반슈아코역 승강장으로 향하였다.

 

 

 

 

 

   다음으로는 '2월 5일 - 로컬선인 아코선[赤穂線]을 타고 오카야마[岡山]로'가 연재됩니다.

   전체 여행 일정 보기

 

free counters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