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철도 여행기 (World Rail Travel)
안동역 앞에는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다. 안동을 대표하는 관광지인 하회마을(http://www.hahoe.or.kr ), 도산서원(http://www.dosanseowon.com ), 병산서원(http://www.byeongsan.net ), 봉정사(http://bongjeongsa.org ) 등은 시내버스를 타야 갈 수 있다. 시내버스라고 해서 대도시처럼 수시로 오는 건 아니다. 시내 밖..
경전선에서 진해선이 분기되는 창원역(昌原驛)은 창원 시내의 서쪽 끝에 있지만 경전선을 탈 수 있어서 창원시의 중심역이다. 지금은 마산과 진해를 합병하여 통합 창원시가 되었지만 1980년에 창원시가 생겼을 때만 하여도 계획 도시로 마산시에 비하여 인구가 휠씬 적었다. 1988년에 완성된 역 건물은..
창원에는 진해선과 경전선이 있기는 하지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기차보다는 버스를 많이 탄다. 창원에는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따로 있었지만 2007년에 합쳐서 창원종합터미널(http://bus.cwsisul.or.kr )이 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길 건너서 신창원역이 있기는 하지만 신..
하동에서 횡천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기차도 있지만 하루에 5회 정도로 회수가 적기도 하지만 기본 운임 구간이라서 비싸다. 하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는 게 훨씬 낫다. 버스를 하루에 13회나 있고 요금은 1,200원이다. 기차는 2,500원이니 절반도 되지 않는다. 수도권에는 수도권전철과 통근 열..
경전선에서 중요한 역인 진주역(晉州驛)은 현재 진주시 강남동에 있다. 곳곳이 공사장인 우리나라는 많은 역들이 새로 지어졌지만 진주역은 예전의 모양을 그대로 갖추고 있다. 현재의 역 건물은 1956년에 지어졌다. 경전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고 완공되면 진주역은 경상대학..
동해남부선의 주요 정차역인 해운대역에는 기차와 지하철 이외에도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해운대역에서 나와서 길만 건너면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이라는 낡은 건물이 있다. 부산에서도 최신 건물이 많이 들어서고 있는 해운대이지만 주변과는 달리 작은 건물에 내부도 의자가 길게 ..
동해남부선 효문역(孝門驛)은 1992년 8월에 울산 시내를 지나던 동해남부선 선로가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새로 생긴 역이다. 이전에는 태화강역(구 울산역)이 시내 중심에 있었고 병영역(兵營驛)이 있었다. 병영역을 대체하기 위하여 신설된 셈이지만 단선 승강장이었던 병영역과는 달리 ..
일본 설2 여행이 무사히 마치고 정리가 어느 정도 끝났습니다. 다시 타이완 여행기가 계속하여 연재됩니다. 26. 5월 25일 - 화려한 역건물이 있는 수이리역[水里車站] 열차가 출발하자 차장이 승차권 검사를 하기 시작한다. 나는 돌아가는 열차의 승차권은 구입하지 않아서 표를 사야만 했다. 겨우 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