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양양까지 연장되면서 홍천휴게소 (양양 방면)이 새로 생겼다. 처음에 한 번 방문(관련 글 보기)한 이후로는 갈 기회가 거의 없었다. 홍천에 사는 입장에서는 서울 방면으로 갈 때에는 동홍천IC로 서울양양고속도로에 진입하고 남쪽으로 갈 때에는 홍천IC로 진입하고 양양 방면으로 갈 때에는 내촌IC로 진입하다 보니 사는 곳에서 가깝지만 홍천휴게소는 거의 가 보지 못하였다. 오랜만에 시간을 내어서 방문하였다. 일요일 오후라서 서울 방면으로 가는 차량이 집중되어서 양양 방면은 주차장이 한산하고 사람도 많지 않다. 그러나 주유소에는 홍천 최저가여서 그런지 차량들이 줄을 서서 주유를 기다리고 있었다. 홍천휴게소는 속초나 강릉으로 가는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가 쉬어가는 곳이기도 하다. 가끔씩 버스가 들..

2주 전에 설악산 등산(https://zenith2.tistory.com/15862489 )을 끝내고 나서 부담없이 가볍게 등산할 수 있는 곳을 찾게 되었다. 설악산이 정말 아름답기는 하지만 등산로가 험하고 거리가 멀어서 온몸에 무리가 가서 회복에 시간이 걸렸다. 찾은 곳 중의 하나가 설악산에 속하기는 하는 곰배골이다. 등산로의 서쪽 절반은 국립공원공단 관할(https://reservation.knps.or.kr/trail/searchTrailReservation.do )이고 동쪽 절반은 산림청 관할(https://www.foresttrip.go.kr/indvz/main.do?hmpgId=ID05030005 )이다. 등산로가 길지는 않아서 당일치기에 적당하고 나무와 숲이 잘 되어 있다고 한다. 다만 어느..

우리나라의 다른 산들은 최근에 등산을 해 보았지만 살고있는 곳에서 자동차로 1시간 거리인 설악산(https://www.knps.or.kr )은 도전하지 않았다. 아무래도 ‘嶽’이 들어가는 험한 산이고 쉽지 않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기에 미루고 있었다. 작년에 한라산 등산을 마치고 나서부터 설악산도 고려 대상에 들어갔다. 종주 위주로 등산을 하는 편인데 설악산은 다른 산들과는 차원이 다르게 등산로가 길고 다양한 코스가 있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등산로를 가 본 후에 설악산에 익숙해지면 차차 코스를 늘려보기로 계획하였다. 사실 설악산은 26년 전에 눈이 쌓여있는 한겨울에 정상인 대청봉까지 올라간 적이 있기는 하다. 당시에는 등산 용품이라는 건 전혀 없었고 아이젠 없이 운동화 신고 내복을 껴입고 갔었던 걸로 기..

일본 역시 철도 차량기지는 외부인의 출입이 차단되어 있다. 그렇지만 밖에서 볼 수 있는 곳들도 많이 있다. 1. 유카리가오카선[ユーカリが丘線, https://town.yukarigaoka.jp/yukariline/ ]: 우리나라는 2015년에 대구도시철도 3호선에 처음 도입된 모노레일이지만 이 노선은 1982년부터 운행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무인운전이 아니라 운전사가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차량은 3편성 뿐이라서 차량기지도 규모가 작습니다. 2. 오다큐전철[小田急電鉄, https://www.odakyu.jp ]: 카라키다역[唐木田駅] 남쪽에 있는 차량기지로 주변이 높아서 유치되어 있는 전동차가 잘 보입니다. 3. 케이오레일랜드[京王れーるランド, https://www.keio-rail-land.jp..

이전에는 기차를 타고 부산에서 경주로 많이 갔지만 동해선이 이설되고 나서는 시간대에 따라서는 태화강역에서 환승해야 하고 시내에서 떨어진 신경주역에 내려서 시내로 경주시내버스를 타고 들어가야 하므로 불편하다. 이런 상황이 되어버려서 부산에서 경주로 갈 때에는 버스가 유용하다. 부산의 3대 버스터미널(부산종합, 부산서부, 해운대) 모두 경주로 가는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게다가 부산종합버스터미널(https://www.bisco.or.kr/busterminal/ )에서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경쟁하고 있다보니 가격이 다른 곳 출발보다 저렴하다. 시외버스는 20분 간격으로 자주 운행한다는 걸 경쟁력으로 고속버스는 같은 요금으로 우등버스를 운행한다는 경쟁력으로 경쟁하고 있다. 고속버스는 하루에 5회만 운행하지만 ..

제주도를 좋아하지는 않고 비행기나 배를 타야 갈 수 있는 우리나라의 지역 하나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올해에는 제주도를 갈 기회가 또 생겼다. 지난 번에는 원주(횡성)공항을 통해서 제주로 가는 항공편을 이용하였는데 이번에는 원주(횡성)공항 출발 항공편이 출발 2주 전에 풀렸기 때문에 가 보고 싶었던 양양국제공항(https://www.airport.co.kr/yangyang/index.do )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는 곳에서의 거리는 원주(횡성)공항이 조금 더 가깝지만 양양국제공항은 주차비가 무료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주(횡성)공항에 취항하는 진에어(https://www.jinair.com )는 제주에서 온 항공기가 되돌아가는 운행 방식이고 하루에 2왕복이지만 양양국제공항은 플라이강원(https..

1. 제주국제공항 출발 목적지인 서귀포KAL호텔(https://seogwipo.kalhotel.co.kr )에 빨리 이동을 해야 했습니다. 물론 호텔 바로 앞까지 가는 제주리무진버스 600번이 있기는 합니다만 중문관광단지를 거쳐서 가서 25분 가량 시간이 조금 더 걸리고 가격은 아래의 급행버스의 2배에 가까운 5,500원이나 합니다. 제주급행버스 181번은 한라산 동쪽의 516도로를 운행하여서 서귀포 시내까지 최단 거리로 갈 수 있습니다. 요금도 3,000원으로 일반시내버스를 환승해서 가는 경우보다는 비싸지만 환승이 필요없고 급행이라서 주요 정류장만 정차합니다. 급행버스는 국내선 나오는 곳 바로 앞에서 타고 버스 아래의 짐칸을 사용할 수 있어서 여기서부터 자동차 렌트가 필요한지를 의아해하게 하였습니다. ..

제주도에 간다고 했을 때 주위에서는 자동차 렌트를 하지 않냐고 많이 물어보았다. 놀러가는 게 아니어서 자유 시간은 많지 않고 현재와 같은 고유가 시기에는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무엇보다는 나는 이미 해외에서도 대중교통으로 잘 다녔기에 외국도 아닌 우리나라에서 어려울 게 없었다. 제주도를 갔다오면서 대중교통은 오키나와본도[沖縄本島]와 비슷한 느낌이었다. 다만 제주도는 오키나와본도보다 더 크지만 인구 밀도가 1/3 수준으로 낮아서 고속도로와 궤도교통(유이레일)이 없어서 대중교통은 버스뿐이다. 다행인 점은 우리나라는 일본과는 달리 물가에 비해서 버스 요금이 저렴하고 환승 할인이라는 환상적인 혜택이 있다. 대신 일본은 패스가 있어서 본전을 뽑기 위해서 여행객들을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부지런히 다니도록 만든다. ..

사는 곳에서는 원주(횡성)공항(https://www.airport.co.kr/wonju/index.do )이 가장 가깝다. 이 공항에서는 현재 제주로 가는 항공편만 하루에 2회 운행하고 있다. 지나가기는 여러 번 하였지만 실제로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로 갈 일이 생겼기 때문이다. 원주공항은 원주시내버스 2, 2-1번, 횡성농어촌버스 10번(매일 3회 운행)과 춘천-원주 간을 연결하는 일부 완행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시외버스는 시각표도 없고 매표소나 자동발매기가 없기에 버스가 정차하면 운전사에게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원주공항이지만 부공항명으로 횡성이 들어가 있는데 위치는 횡성군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원주시내버스이지만 원주로 오갈 때에는 시계외요금이 붙는 반면 횡성읍을 오갈 때에는 기본요금..

추암역에서 걸어서 주변 관광지를 둘러볼 수 있다. 추암역에서 동쪽으로 가면 추암해수욕장이 있다. 우리나라 다른 해수욕장과 마찬가지로 해수욕장 이름과 년도가 적힌 인증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추암에서 가장 유명한 촛대바위를 보려면 소나무가 무성한 언덕을 올라가야 한다. 언덕 위에는 능파대(凌波臺)라는 정자가 있다. 능파대에 올라가면 바다 위에 솟아있는 촛대바위를 볼 수 있다. 수시로 파도가 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의 풍화를 일으키는 환경 속에서도 꿋꿋하게 촛대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북쪽으로 가다보면 능파대와 촛대바위가 있는 곳에는 해안을 따라서 바위가 하늘을 향하여 솟아있는 암석기둥(라피에, lapie)이 이어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라피에는 석회암..
- Total
- Today
- Yesterday
- 간이역
- 무궁화호
- 타이완
- KTX
- 기차 여행
- 시외버스
- 노르웨이
- 강원도
- 영국
- 한국철도
- 코레일
- JR니시니혼
- 동해남부선
- 스웨덴
- Sweden
- 고속철도
- 경상북도
- 복선전철화
- 경상남도
- 북유럽
- 철도
- 부산
- 대만
- 일본
- 경전선
- 전라남도
- 유럽
- 무인역
- 철도공사
- 폐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